Add Headings and they will appear in your table of contents.
<학술연구>
Kim, T., & Han, S. (2018). Development of Python Education Program for Block Coding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1), 53-60.
Kim, T., & Han, S. (2018). Comparing with Scratch and Python in CT Concept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2018. Hong Kong: The Education University of Hong Kong.
김태령, 한선관. (2020).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40, 181-204.
김태령 류미영, 한선관. (2020).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기초 연구.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1(1), 31-42.
김태령, 한선관. (2020). 인지 모델링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이미지 변화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024(6), 573-584.
김태령, 한선관. (2020). 인공지능의 계층별 교육 내용과 방법. 한국인공지능교육학회 학술대회, 161-162.
김태령, 한선관. (2021).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 SW기반 메이커교육의 효과성 비교: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흥미도의 관점에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3),: 571-578.
김태령, 한선관. (2021). SW 융합 기반 노벨엔지니어링 (NE) 이 읽기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교육논총, 41, 29-48.
김태령, 한선관. (2021). 예비교사를 위한 온라인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4), 621-632.
송해남, 김태령. (2022). VR 저작도구 기반 노벨 엔지니어링 (NE) 교육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3), 153-165.
김태령, 한선관. (2022). 인공지능교육 플랫폼의 초중등 수업 적합성 연구.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3(2), 33-47.
Kim, T. (2022). Implementation of block programming for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s. focused on linear regression, Lightening Talk. SnapCon2022.
Kim, T. (2022).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ystems Thinking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교육논총, 42, 93-105.
송해남, 김태령. (2023). 디지털 프로토타이핑 툴을 이용한 노벨 엔지니어링 수업의 효과.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4(3), 66-75.
<현장연구>
2017 STEAM 교사연구회 자문(한국과학창의재단)
2018 STEAM 교사연구회 대표(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STEAM 교사연구회 자문(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현장연구공동체 Design Thinking In School 대표
2020 STEAM 교사연구회 자문(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STEAM 교사연구회 자문(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과학교사연구회 자문(한국과학창의재단)
2022 STEAM 교사연구회 자문(한국과학창의재단)
<프로젝트>
2024 디지털 새싹캠프 상반기,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교육운영)
2023 디지털 새싹캠프 하반기,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교육운영)
2023 STEAM 교육,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2023 디지털 새싹캠프 상반기,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교육운영)
2023 창의교육거점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2022 창의교육거점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2021 창의교육거점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2021 교육총연합회
2021 교육개발원
2021 창의교육 거점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실무. A22020004.
2021. 6. 25. 한국법제연구원. Post COVID19 사회변화 대응 법제화 연구 포럼. 토론자 참여.
2021 상호작용하는 인공지능,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2021 학교밖 STEAM 연구활동(내 손안의 인공지능),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실무.
2021 미래교육시대의 인간 교사와 인공지능(AI) 교사의 역할 및 기능 정립 방향 탐색 연구 목차. 한국교육총연합회. 연구원.
2021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의 교육적 활용 모형 개발, 「2021년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개선.선도연구제안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2021 착한인공지능교육 보조교재 개발, 인천시교육청, 공동연구.
2020 착한인공지능교육 표준안과 가이드라인 개발, 공동연구.
2020 교육정책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분석과 AI 플랫폼 구성 방안(인천광역시, 인천교육-2020-0006, 공동연구)
2020 인공지능 이해를 위한 사이트 개발, 인천시교육청, 실무개발
2020 착한인공지능 교육 표준안 및 가이드라인 개발, 인천시교육청, 공동연구
2020 STEAM 교육 콘텐츠 개발: 책임있는 AI,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2019 인공지능교육 교사 연수 운영, 인천시교육청, 연수 강사 및 운영
2019 STEAM 교육 콘텐츠 개발: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한국과학창의재단, 공동연구
2017 소프트웨어교육 콘텐츠 개발, 교육지대, 개발 참여